현실과 지식

이자보상율이란?, 이자보상율 계산법,이자보상율 공식, 이자보상율비율

브런치샵 2024. 6. 19. 16:30
반응형

이자보상율이란?, 이자보상율 계산법,이자보상율 공식, 이자보상율비율 이야기입니다.

이자보상율(Interest Coverage Ratio, ICR)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금융 지표입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으로 얼마나 편안하게 부채의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자보상율
이자보상율

이자보상율 정의

이자보상율은 기업의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또는 EBIT: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을 이자 비용(Interest Expense)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는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이 이자 비용을 얼마나 잘 충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자보상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상태가 건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이자보상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재무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자보상율 계산법
이자보상율 계산법

이자보상율 계산법

이자보상율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자보상율 =영업이익 (EBIT)  / 이자비용

◆ 영업이익

본업으로 발생한 이익을 의미하며,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자비용

부채의 이자로 지급한 금액을 의미하며,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율 예시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영업이익이 1,000,000(원)이고 이자 비용이 200,000(원)아라면 이자보상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이자보상율 = 1,000,000 / 200,000 = 5

즉, 이 기업은 이자 비용의 5배에 해당하는 영업이익을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자보상율 해석

이자보상율은 일반적으로 1 이상이어야 기업의 재무 상태가 양호하다고 평가됩니다.

하지만 업종이나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이자보상율 수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자보상율 > 1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이 이자 비용을 충당하고도 남음을 의미합니다.

이자보상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이자보상율 < 1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이 이자 비용을 충당하지 못함을 의미하며, 이는 재무적인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업종에 따른 이자보상율 비율에 따른 해석입니다.

◆ 자본집약적인 업종

높은 부채 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자보상율이 1보다 낮더라도 정상적인 수준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성장성이 높은 기업

미래의 성장을 위해 투자를 많이 하기 때문에 이자보상율이 1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율 비율
이자보상율 비율

이자보상율 비율

이자보상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부채에 대해 더 안정적이며, 이자 지급 능력이 뛰어남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이자보상율이 2 이상이면 안정적이라고 평가하며, 3 이상이면 매우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비율은 업종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율 비율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단독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다른 재무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또한, 업종이나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이자보상율 비율 수준은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해야 합니다.

이자보상율과 이자보상비율

이자보상율과 이자보상비율은 모두 기업의 이자 부담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계산 방식과 해석 방식에서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계산 방식

◆ 이자보상율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입니다.

(1) 영업이익

본업으로 발생한 이익을 의미하며,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자비용

부채의 이자로 지급한 금액을 의미하며, 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자보상비율

이자보상율을 영업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이자보상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해석 방식

◆ 이자보상율

1 이상 :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 상태가 양호하다고 평가됩니다.

1 미만 : 기업의 재무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업종이나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수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자보상비율

(1)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부채 대비 이자 부담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무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 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부채 대비 이자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무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업종이나 기업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수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활용

◆ 이자보상율

절대적인 값으로서 기업의 이자 부담 능력을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1) 추이 분석

과거 이자보상율 수준과 비교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2) 동업 기업 비교

동업 기업의 이자보상율 수준과 비교하여 기업의 상대적인 이자 부담 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 이자보상비율

비율로서 기업의 부채 대비 이자 부담 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냅니다.

(1) 재무 상태 분석

총자산 대비 이자보상율 비율과 매출 대비 이자보상율 비율을 통해 기업의 부채 수준과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2) 투자 의사 결정

이자보상비율을 비교하여 투자할 기업을 선정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자보상율을 통해 기업의 재무 상태와 이자 지급 능력을 평가하면 투자 결정이나 신용 평가에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브런치와 수다 풍경

생활백과, 문화&예술, 꿈해몽(사주,타로,풍수지리), 동서양 잡학의 모든 것에 대한 담론

logbrunc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