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경제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주 이야기

브런치샵 2025. 3. 30. 15:03
반응형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폐배터리 관련주, 전기차 폐배터리 관련주 이야기입니다.

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배터리 재활용이란 수명이 다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폐배터리에서 유가 금속(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등)을 회수하여 새로운 배터리 제조 또는 다른 산업 분야에 활용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폐기물 처리를 넘어, 자원 순환 경제를 구축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핵심적인 활동입니다.

 

이 분야는 크게 재활용(Recycle)과 재사용(Reuse)으로 구분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폐배터리 발생량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 폐차 대수는 2025년 56만 대에서 2030년 411만 대, 2035년 1,784만 대, 2040년 4,277만 대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사용 후 배터리의 활용 방안으로는 '재사용', '재활용', '용도 변경' 등으로 구분 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 증가 추세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 증가 추세

유럽연합은 배터리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원재료 재활용 기준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배터리법'을 도입하였습니다.

이 법은 2031년부터는 리튬, 코발트 등 핵심 원료의 재활용이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미국내 배터리 재활용 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재활용의 중요성

● 원자원 고갈 문제 해결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희귀 금속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며, 특정 국가(중국, 콩고 등)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재활용을 통해 이러한 자원의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환경 오염 감소

폐배터리는 매립 시 토양 및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소각 시 유해 물질 배출의 원인이 됩니다.

재활용은 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합니다.

● 경제적 가치 창출

폐배터리에는 상당량의 유가 금속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입니다.

●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폐배터리 발생량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터리 재활용은 지속 가능한 전기차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배터리 재활용의 중요성
배터리 재활용의 중요성

배터리 재활용 기술

배터리 재활용 기술은 크게 건식 제련 방식과 습식 제련 방식, 그리고 최근 주목받는 직접 재활용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습식 제련(Hydrometallurgy)

폐배터리를 산이나 용매에 녹여 특정 금속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높은 순도의 금속 회수가 가능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건식 제련(Pyrometallurgy)

폐배터리를 고온에서 녹여 금속을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에너지 소비가 많고 환경 오염 발생 가능성이 있지만, 처리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직접 재활용 (Direct Recycling)

배터리 셀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활물질만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에너지 소비와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닙니다.

● 기계적 처리(Mechanical Processing)

배터리를 분쇄하여 금속과 비금속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초기 처리 단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배터리 재활용 기술
배터리 재활용 기술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및 ETF

국내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 성일하이텍

폐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회수하는 습식 제련 전문 기업. 글로벌 습식 제련 시장 점유율 1위입니다.

높은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기대 할수 있습니다.

◆ 코스모화학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등 배터리 소재 생산 및 폐수 처리 사업 영위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을 통해 성장 동력 확보하였습니다.

기존 화학 사업의 안정적인 수익 기반과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성장 잠재력. 수직 계열화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 기대할수 있습니다.

◆ 에코프로

양극재 전문 제조 기업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자회사 에코프로씨엔지를 통해 재활용 사업 진출을 했습니다.

양극재 생산 능력과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력을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 기대. 그룹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 합니다.

◆ LG화학

국내 대표적인 배터리 제조 기업 입니다.

자체적인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 및 사업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배터리 제조 사업 기반과 자체적인 재활용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자회사 SK온을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추진합니다.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입지와 적극적인 투자를 합니다.

◆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및 음극재 생산 기업 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을 통해 배터리 소재 공급망 내재화 추진하고 있습니다.

◆ 하나기술

배터리 제조 장비 전문 기업 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 장비 개발 및 공급 합니다.

배터리 제조 장비 분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장비 시장을 점유중입니다.

◆ NPC

폐기물 처리 전문 기업 입니다.

폐배터리 운반 및 처리 사업 영위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처리 분야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폐배터리 처리 시장 진출 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 Li-Cycle Holdings Corp. (LICY)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선두주자로, 배터리 소재의 95%를 회수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습식 제련 기술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의 파트너십 강화. 성장 잠재력이 높으나, 아직 수익성은 낮은 편으로 보입니다.

● Albemarle Corporation (ALB)

세계 최대 리튬 생산 기업 중 하나입니다.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을 회수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Tesla, Inc. (TSLA)

자체 재활용 공정을 통해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을 회수하며, 네바다 기가팩토리에서 배터리 생산과 재활용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 Redwood Materials

테슬라의 공동 창업자인 JB Straubel이 설립한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 재활용 및 양극재 생산을 하고, 테슬라와의 협력 관계도 있습니다.

● Ascend Elements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배터리 소재를 추출하는 기술 보유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에 생산 시설 구축했습니다.

혁신적인 Hydro-to-Cathode™ 기술을 통해 고순도 배터리 소재 생산을 합니다.

● Ganfeng Lithium Co., Ltd. (赣锋锂业) (OTC: GNFLY)

중국의 대형 리튬 생산 기업입니다.

리튬 채굴부터 배터리 재활용까지 사업 영역 확장 합니다.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 Sibanye Stillwater Limited (SBSW)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반의 광산 기업입니다.

백금족 금속 생산이 주력이지만, 배터리 금속 재활용 사업에도 투자 합니다.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 ETF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LIT)

리튬 및 배터리 기술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배터리 재활용 기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Amplify Lithium & Battery Technology ETF (BATT)

리튬 및 배터리 기술 분야의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 ETF
미국 배터리 재활용 관련 ETF

글로벌 폐배터리 관련주 및 ETF

◆ American Manganese Inc. (AMY)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리튬, 망간, 니켈, 코발트 등을 회수하는 특허 기술을 개발한 기업입니다.

◆ Umicore SA (UMI)

벨기에 기반의 다국적 재료 기술 기업으로, 배터리 폐기물 재활용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Fortum (FORTUM.HE)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으로, 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청정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LIT)

리튬 채굴, 배터리 생산, 재활용 등 배터리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ETF로, 배터리 재활용 기업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폐배터리 관련주 및 ETF
글로벌 폐배터리 관련주 및 ETF

폐배터리 관련주는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와 상당 부분 겹칩니다.

때로는 폐배터리 운송, 보관, 안전 처리 등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기업들이 포함 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서는 폐배터리 재활용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두 용어가 혼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배터리 재활용 관련주들이 폐배터리 관련주로도 분류될 수 있습니다.

 

국내 폐배터리 관련주

◆파워로직스

2차전지 보호회로 및 카메라 모듈 제조를 합니다.

파워로직스는 2019년부터 현대자동차그룹과 협력하여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제품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청주 본사에 구축하였습니다.

◆ SK렌터카

전기차 렌탈 사업을 통해 대규모의 전기차를 운영함에 따라, 사용 후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처리 및 재활용 방안 모색 합니다.

◆ SK에코플랜트

SK그룹의 환경·에너지 전문 기업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내 폐배터리 관련주
국내 폐배터리 관련주

글로벌 시장에서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의 역할

글로벌 시장에서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은 단순한 폐기물 처리 산업을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자원 안보 강화

주요 배터리 원자재의 공급망 불안정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폐배터리 재활용은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의 자원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탄소 중립 목표 달성 기여

배터리 생산 과정은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탄소 배출량이 높습니다.

재활용을 통해 원자재 채굴 및 생산 과정을 줄이면 탄소 배출량을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이는 각국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합니다.

● 순환 경제 구축의 핵심

폐배터리는 단순한 쓰레기가 아닌, 미래 산업의 중요한 자원입니다.

재활용을 통해 자원을 순환적으로 이용하는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배터리 재활용 산업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폐배터리 발생량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막대한 시장 기회를 제공하며, 새로운 기술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중요성 증대

각국 정부는 폐배터리 처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를 도입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규제 강화는 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의 역할
글로벌 시장에서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의 역할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기술력과 향후 기대되는 기업

◆ Redwood Materials

테슬라 출신 CEO의 강력한 리더십과 혁신적인 기술력, 테슬라와의 협력 관계 등으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배터리 재활용뿐만 아니라 양극재 생산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수직 계열화를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 Altilium

영국 기반의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업으로, 최근 일본의 마루베니로부터 5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아 사업 확장을 추진 중입니다.

◆ Ascend Elements (미국)

독자적인 Hydro-to-Cathode™ 기술을 통해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배터리 소재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배터리 제조사 및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Li-Metal Corp. (캐나다)

차세대 배터리 음극재 소재인 리튬 메탈 음극재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입니다.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리튬 메탈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음극재 생산에 활용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차세대 배터리 시장의 성장과 함께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Battery Resourcers (미국)

폐배터리에서 고순도 코발트, 니켈, 리튬을 회수하는 습식 제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블랙 매스(전처리된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새로운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Circulor (영국)

배터리 공급망 추적 및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재활용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ESG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주목받는 기업입니다.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기술력과 향후 기대되는 기업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기술력과 향후 기대되는 기업

배터리 재활용 및 폐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원 효율성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관련 기업과 ETF에 대한 투자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시에는 각 기업의 기술력, 시장 위치, 재무 상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 본 포스팅은 배터리 관련 정보를 위해서만 읽기 바랍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및 전고체 배터리 ETF, 전고체 배터리 개발 기업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및 전고체 배터리 ETF, 전고체 배터리 개발 기업 이야기입니다.최근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기술, 특히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

logbrunch.tistory.com

 

반응형